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도약계좌 신청 언제부터? - 조건 및 혜택 정리

by ☛⦿▶︎ 2023. 5. 26.

23년 6월부터 청년도약계좌가 출시됩니다. 월 70만 원씩 납입하면 5년 뒤 정부에서 5,000만 원을 돌려주는 제도인데요. 단, 누구나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오늘은 청년도약계좌 신청조건, 소득별 혜택에 대해 말씀드릴게요.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및 혜택 정리

 

해당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 신청 가능 조건과 혜택 그리고 신청 방법에 대한 정보를 다루고 있습니다. 해당 정보 외 재테크에 도움될만한 다른 정보도 소개해 드리고 있으니 아래 글을 끝까지 읽어주세요.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 대통령 정부 출범시 공약으로 나왔던 청년 지원 제도인데요. 그래서 청년내일저축이나 내일 채움공제, 일반 지자체에서 진행하는 지원제도보다 신청 조건이 까다롭지 않습니다.

 

아래 세 가지 조건만 만족시키면 되는데요. 크게 나이, 연 소득, 중위 소득을 봅니다.

 

 

1. 만 19세 이상 34세 미만 성인

만 19세 이상 34세 미만 성인이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 다만 군대 등 의무 복무 기간은 최대 6년까지 제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군 복무 기간이 2년이 있는 성인은 만 36세까지 신청 가능하죠.

 

2. 연 소득 7,500만 원 이하

연 소득 7,500만 원 이하의 청년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다만 소득 기준에 따라 혜택은 줄어들 수 있어요. 그래서 특정 소득 수준에서는 해당 제도가 크게 도움이 안 될 수 있습니다.

 

3. 중위소득 180% 이하

중위 소득이란? 대한민국 가구별 월 평균 소득을 뜻하는데요. 100%가 중간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중위소득 180%까지만 신청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2인 가구 총 소득이 600만 원이라면 신청이 불가능한 것이죠.

 

청년도약계좌 혜택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최대 70만 원을 5년 간 납부하면 5,000만 원을 돌려주는 정부 지원 제도인데요. 70만 원씩 5년 간 모으면 원금만 4,200만 원입니다.

 

즉 800만 원을 정부에서 이자로 채워준다는 뜻입니다. 단, 소득 수준에 따라 최대 입금 가능 금액과 매칭률을 차등 적용하여 소득이 많을수록 지원 혜택이 줄어들어요.

 

연 소득 6,000만 원 이상 7,500만 원 이하의 청년은 청년도약계좌의 기본 금리에 대한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을 뿐 추가 지원금은 못 받게 되는 것이죠.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적용될 금리는 6월에 발표될 예정이고요. 3년간 고정 금리 그리고 2년은 변동 금리가 적용될 예정입니다.

 

적용 금리에 따라 연 소득 6,000만 원 이상 가입자는 큰 메리트가 없다.

청년도약계좌의 적용 금리가 아직 적용되지 않았지만 평균 금리가 4% 이하일 경우 해당 제도는 큰 메리트가 없고요. 오히려 시중에 나와있는 저리 과세 예금에 가입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및 방법

 

신청 기간

청년도약계좌는 23년 6월부터 12월까지 6개월 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가능한 청년 수가 많다 보니 신청 기간 초반에는 출생 연도로 구분하여 요일제로 신청받을 예정입니다.

 

신청 방법

신청 절차가 복잡하지 않도록 별도 서류 제출 없이 전용 앱으로 진행될 예정이고요. 복지로에서 개발한 청년도약계좌 앱이 출시되면 내용 업데이트하여 공유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댓글